■ 뉴욕 증시(5/24)
스냅의 실적 경고에 혼조세
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20525007400009?input=1195m
뉴욕증시, 스냅發 충격에 혼조…다우 0.15%↑ 마감 | 연합뉴스
(뉴욕=연합뉴스)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= 뉴욕증시는 스냅의 실적 경고에 기술주들이 크게 밀리며 나스닥지수는 하락한 반면, 다우지수는 올라...
www.yna.co.kr
• 스냅의 실적 경고에 기술주들이 크게 밀리며 나스닥지수는 하락하였으나 다우지수는 오름
• 소셜미디어 업체 스냅의 최고경영자 에반 스피겔이 직원들에게 실적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경고의 서한을 보내 주가가 폭락함
• 스냅의 하락에 기술주들도 동반 하락
• 월마트, 타깃에 이어 소매업체들이 인건비, 운송비 상승으로 이익이 악화되고 있음
•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의 경기 모멘텀이 둔화하고 있음
■ 경제 정책
정부가 대대적으로 규제 개혁에 나설 예정
https://www.mk.co.kr/news/economy/view/2022/05/459002/
투자 국내복귀 늘리려…정부 규제완화 속도
한덕수총리 규제혁신 회의 文정부서 투자금 56조원 유출 18개 정부부처 TF 구성 지시
www.mk.co.kr
• 국내 대기업들이 잇달아 국내 투자 계획을 밝히자 정부가 대대적으로 규제 개혁에 나서겠다고 화답함
• 한덕수 국무총리는 18개 정부 부처별로 규제 개혁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라고 지시함
• 한 총리는 기업 규제를 시장에 맡길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함
• 정부가 규제 개혁 의지를 천명한 것은 최근 한국을 이탈하는 투자 자금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의식했기 때문
- 각종 기업 규제가 불어나며 경영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이 자금 이탈의 주요 원인
• 주요국들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으므로, 이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규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함
■ 경제 지표
기대인플레이션율 9년 7개월 만에 최고
https://www.mk.co.kr/news/economy/view/2022/05/458974/
지금도 힘든데, 물가 더 뛴다니…기대인플레이션율 9년7개월만에 최고
韓銀 5월 소비자동향조사 소비자예상 향후1년 물가상승 전달보다 0.2%P 오른 3.3%로
www.mk.co.kr
• 기대인플레이션율이 9년 7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(3.3%)
•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
-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임금과 상품 가격 등에 반영돼 실제 물가를 끌어올리는 2차 파급 효과가 발생함
- 원자재 가격 급등과 같은 일시적 요인과 달리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물가 상승을 장기간 지속시키고 정부와 통화당국의 물가 안정 정책 효과도 반감될 수 있음
• 최근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금리 수준 전망지수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
• 규제 완화 기대감에 살아났던 집값 전망은 3개월 만에 다시 하락 전환
• 5월 소비자심리지수(CCSI)는 102.6으로 3개월만에 하락세(100보다 높으면 장기 평균과 비교해 소비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)
■ 산업&기업
국내 대기업의 국내 투자 규모 확대
https://www.mk.co.kr/news/business/view/2022/05/459045/
삼성 360조·현대차 63조…국내투자 쏟아낸다
재계, 해외 이어 국내도 5년간 통 큰 투자 발표 롯데 37조·한화 20조 투자 SK·LG도 곧 계획 밝힐 듯 "일자리 확대에 긍정 신호"
www.mk.co.kr
https://www.mk.co.kr/news/business/view/2022/05/459001/
친환경·모빌리티…신성장사업 공격 투자
4개 그룹 투자 공통분모는
www.mk.co.kr
• 대기업들이 국내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힘
- 삼성, 현대차, 롯데, 한화 등 4개 그룹이 4~5년간 투자 규모로 밝힌 금액만 480조 원
• 삼성: 반도체, 바이오, AI, 차세대 통신 등에 향후 5년간 450조 원을 투자하고, 그 중 80%가 국내 투자 / 반도체 초강대국을 달성하기 위한 선제적인 투자 / 핵심 사업 중심으로 신규 채용을 늘리겠다는 계획
• 현대차그룹: 전동화, 도심항공교통, 자율주행 등 신사업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자
• 롯데: 바이오 헬스케어, 모빌리티 사업 등 신사업 부문에 투자(국내 투자 규모로 역대 최대)
• 한화: 에너지, 탄소중립, 방산, 우주항공 등에 투자
• SK와 LG도 조만간 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할 예정
■ 생활 경제
서울 전통시장의 성장
https://www.mk.co.kr/news/society/view/2022/05/458913/
코로나 이전 매출 20% 뛰어넘은 서울 전통시장…위기 극복 비결은
서울시의회 상권매출 분석 코로나 시기 거리두기 여파 골목상권 등 매출 줄었지만 전통시장은 오히려 20% 쑥 미관 개선, 온라인판로 개척 재난지원금·지역화폐도 한몫
www.mk.co.kr
• 코로나19 기간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영등포 청과시장 매출은 오히려 급증
• 전통시장과 배달 플랫폼의 결합, 지역화폐 유통 활성화 등으로 전통시장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됨
- 서울시는 전통시장 신석식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해 배달하는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 등을 하고 있음
- 쿠팡이츠가 전통시장 음식점 주문 서비스 시작
- 전문 쇼호스트가 등장해 전통시장 상품을 라이브 커머스로 판매하는 우리 시장 자랑대회를 진행함
• 구청의 시장 현대화 사업 지원과 상인들의 변화도 한몫함
• 전통시장이 성장한 데에는 자치구, 전통시장이 마련한 자구책에 더해 서울시의 전통시장 육성 정책, 긴급 재난 지원금의 지역 화폐 사용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
• 전통시장이 소매 위주인 점도 매출 증가의 동력(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식업, 서비스 업종은 하락세를 보였지만 소매업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)
• 전통시장을 제외한 골목상권, 관광특구, 발달상권의 총매출액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/ 영세 상권 매출도 크게 줄어듦
'경제 신문 읽기 > 2022년 5월 경제 신문 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2년 5월 24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24 |
---|---|
[2022년 5월 23일] 경제 신문 읽기 (1) | 2022.05.23 |
[2022년 5월 20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20 |
[2022년 5월 19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19 |
[2022년 5월 18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18 |
댓글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