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뉴욕 증시(5/19)
물가, 경기 우려에 하락
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20520006700009?input=1195m
뉴욕증시, 물가·경기 우려에 하락…S&P500지수 0.58%↓마감 | 연합뉴스
(뉴욕=연합뉴스)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= 뉴욕증시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면서 또다시 하락했다.
www.yna.co.kr
• 물가 상승 압력으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면서 또다시 하락함
• S&P 500 지수가 52주래 최고치 대비 20% 이상 하락하면서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
•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공격적인 긴축에 나서고 있으나 이것이 성장을 해쳐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짐
• 물가 상승, 성장 둔화라는 이중고에 주가도 반등하기 어렵다는 회의론이 팽배해짐
• 위험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국채 가격이 오름
• 인플레이션이 기업들의 수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
■ 경제 정책
정부가 중소기업의 성장판을 키우는 규제 완화 작업에 착수함
https://www.mk.co.kr/news/business/view/2022/05/444180/
기업 `피터팬증후군` 막는다…정부, 中企혜택 `5년 유지` 추진
고질병이 된 성장기피 中企, 중견기업에 오르면 세감면 등 수많은 혜택 못봐 중기부 "3년 갖고는 부족해" `모래주머니` 해소 신호탄 가업승계때 사후관리 7년 의무 업계 요구에 `5년 안팎` 검토
www.mk.co.kr
• 중소기업들은 중견 기업으로 성장할 때 각종 규제가 급증하고 혜택이 중단되어 중소기업에 머무르려는 경향을 보임(피터팬 증후군)
• 피터팬 증후군을 막기 위해 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을 5년으로 늘리는 법령 개정 본격 검토
• 일부에서는 현행 3년도 충분하고 유예기간이 기업을 안주시켜 피터팬 증후군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반발
• 중견기업이 되면 혜택은 급감하고 규제는 늘어나 상당수 기업이 중소기업 회귀를 희망함
• 가업상속공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편도 추진
■ 경제 지표
국내 소비위축 경향 심화
https://www.mk.co.kr/news/economy/view/2022/05/444188/
"왠지 불안하네"…소득 늘어도 돈 안쓰는 한국인
한국도 소비위축 비상 가구당 흑자액 월 133만원 올 1분기 물가 상승분 빼면 실제 소비증가율 0.8% 그쳐
www.mk.co.kr
• 급격히 커지는 물가, 세금 부담 등으로 한국의 평균 소비 성향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음
- 평균 소비성향은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
•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올랐지만 고불가 등에 허리띠를 졸라맨 가구가 늘었음
- 버는 돈이 소비로 이어지지 않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
• 소비가 위축된 데는 고물가 현상이 주된 영향을 미침, 세금 부담과 사회보험료 지출이 늘어난 것도 소비를 위축시킨 요인
■ 산업&기업
수소, 배터리사업을 키우려는 롯데케미칼
https://www.mk.co.kr/news/business/view/2022/05/444070/
롯데케미칼, 10조원 투자…수소·배터리사업 키운다
친환경 기업 대전환 선언 2030년 총매출 50조 목표 고부가·그린서 30조 창출 美전지법인 상반기내 설립 현지 공급망 구축 `급물살`
www.mk.co.kr
• 롯데케미칼이 2030년까지 수소·배터리 사업에 총 10조 원을 투자할 계획
- 기존 석유화학 기업에서 수소, 배터리 등 종합화학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함
• 롯데케미칼 임원들이 폐플라스틱 재활용 섬유로 제작한 LAR 운동화를 신고 등장하는 등 친환경 사업에 대한 의지를 드러냄
• 수소 사업에서 국내 1위 사업자로 올라서겠다는 계획 발표
■ 생활 경제
인도네시아, 팜유 수출 재개
인도네시아, 팜유 수출금지령 푼다
인도네시아가 오는 23일부터 팜유 수출을 재개한다. 지난달 28일 팜유 수출 금지령을 선포한 지 25일 만이다.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19일 화상 연설을 통해 팜유 원유(CPO)와 팜 올레인,
plus.hankyung.com
• 인도네시아가 23일부터 팜유 수출을 재개함
-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이자 수출국
- 지난달 자국 내 팜유 가격이 급등하자 팜유 수출 금지령을 내림
- 러시아 침공으로 우크라이나가 주요 수출품인 해바라기씨유 수출에 차질을 빚자 대체재인 팜유 가격이 급등함 → 국제 가격이 높아지자 인도네시아 팜유 생산업자들이 본국에 유통하지 않고 수출 물량을 늘림 → 식용유 가격이 상승하며 품귀 현상을 빚자 강경 대책으로 수출 금지
- 수출길이 막혀 소득이 줄어든 농민들이 잇따라 시위를 함,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
- 무역수지 적자로 여론이 악화되자 목표치만큼 식용유 가격이 하락하지 않았지만 수출길을 다시 튼 것이라는 분석
'경제 신문 읽기 > 2022년 5월 경제 신문 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2년 5월 24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24 |
---|---|
[2022년 5월 23일] 경제 신문 읽기 (1) | 2022.05.23 |
[2022년 5월 19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19 |
[2022년 5월 18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18 |
[2022년 5월 17일] 경제 신문 읽기 (0) | 2022.05.17 |
댓글0